티스토리 뷰
자녀에게 재산을 이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세금이 증여세입니다. 특히 고액 자산가가 아니더라도, 부모가 자녀에게 목돈을 줄 때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으므로, 2025년 기준 면제 한도와 절세 전략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1. 2025년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
- 성년 자녀 (만 19세 이상): 10년간 합산 5,000만 원까지 면제
- 미성년 자녀: 10년간 합산 2,000만 원까지 면제
면제 한도는 증여를 받은 날로부터 10년간 합산하여 계산하며, 부모 각각으로부터 받은 증여는 따로 계산됩니다.

2. 혼인·출산 관련 추가 공제
- 혼인 자금: 10년 내 최대 1억 원까지 공제 가능
- 출산 및 육아 자금: 10년 내 최대 5천만 원까지 공제 가능
단, 해당 목적의 자금은 증여 후 3개월 이내 사용하고 증빙서류(혼인계약서, 출산영수증 등)를 제출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증여세 세율 (2025년 기준)
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 |
---|---|---|
1억 원 이하 | 10% | 0 |
1억 ~ 5억 | 20% | 1,000만 원 |
5억 ~ 10억 | 30% | 6,000만 원 |
10억 ~ 30억 | 40% | 1억 6,000만 원 |
30억 초과 | 50% | 4억 6,000만 원 |
4. 실전 절세 전략 5가지
- ① 10년 주기로 증여 분산
증여세 면제는 10년 단위로 적용되므로, 예를 들어 2025년에 5,000만 원 증여 후 2035년에 추가 증여하면 세금 없이 1억 원 이전 가능합니다. 단기적이 아닌 장기 계획이 중요합니다. - ② 부부 각각의 면제 한도 활용
부모가 각각 자녀에게 증여하면 1인당 5,000만 원씩 총 1억 원까지 면세 가능합니다. 실질적으로 하나의 재산이라도 증여자는 분리해 적용됩니다. - ③ 혼인·출산 목적 자금으로 지정
자녀의 결혼이나 출산 계획이 있다면 이 목적을 명시해 공제 한도를 대폭 늘릴 수 있습니다.
단, 혼인일 또는 출산일로부터 3개월 내 실제 사용 및 영수증 등 지출 증빙 필수 - ④ 세율 구간 넘기지 않도록 설계
증여세는 누진세이므로 5억, 10억, 30억 원 구간을 넘을 때 세금이 급격히 증가합니다. 가급적 해당 구간을 넘지 않도록 증여 금액을 쪼개는 전략이 필요합니다. - ⑤ 상속과 비교한 유불리 판단
금액이 크고 장기 계획이라면 증여보다 상속 공제(일괄공제 5억, 배우자 공제 등)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. 상속은 가족 전체에게 분산되므로 세율을 낮출 여지도 많습니다.
💡 추가 팁: 자녀 계좌로 증여한 금액이 이후 부모 계좌로 역송금되거나, 부모가 직접 사용한 경우 국세청이 '가장 증여'로 판단하여 세금이 추징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자녀 명의 계좌는 철저히 분리 관리해야 합니다.
5. 참고 자료 및 링크
자녀에게 증여를 계획 중이시라면, 2025년 면제 한도와 전략을 꼼꼼히 확인한 후 시작하세요.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😊
🔽함께 보면 좋은 글🔽
자녀에게 증여할 때 세금 줄이는 6가지 방법
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때 가장 걱정되는 것이 바로 증여세입니다. 특히 부동산, 예금, 주식 등 고액 자산을 이전할 경우 세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그렇다면 합법적으로 증여
jrina.tistory.com
연금저축펀드 2025년 추천 5가지 상품 비교
2025년, 노후 준비를 위해 가장 인기 있는 금융 상품 중 하나는 연금저축펀드입니다. 특히 세액공제 혜택과 더불어 높은 수익률을 노릴 수 있어, 근로자나 자영업자 모두에게 유리한 선택입니다.
jrina.tistory.com
ISA 계좌로 노후 준비하는 법 – 절세부터 투자까지 한 번에
2025년 현재, 많은 분들이 노후 준비를 위해 다양한 금융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. 그 중에서도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는 정부가 세제 혜택을 제공하며 장기적인 자산 운용을 도와주는 실
jrina.tistory.com